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달콤친절한 에프터이펙트

728x90
반응형
에펙 렌더링 할 때 하위버전 상위버전 렌더링 하는법 에펙 렌더링 할 때 하위버전 상위버전 렌더링 하는법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렌더링 할 때 하위버전 상위버전 렌더링 하는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렌더링 할 때 Adobe CC 하위버전, 상위버전 렌더링 같은 회사에 있는 사람들끼리 작업 파일을 전달할 때는 아무 문제가 안 생깁니다. 그 이유는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같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파일을 외주에 넘겨 줄 때는 그 파일이 종종 안 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버전을 쓰고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에펙은 하위버전 세이브는 상위버전에서는 잘 열립니다. 그런데 반대로 상위버전 세이브는 하위버전에서 안 열립.. 더보기
에펙 렌더링 하기 전 옵션값 최적화로 설정하는 꿀팁! 에펙 렌더링 하기 전 옵션값 최적화로 설정하는 꿀팁!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렌더링 하기 전 옵션값 최적화로 설정하는 꿀팁!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렌더링 하기 전 옵션 값 설정하기 에펙 작업이 다 끝났으면 이제 마지막으로 해야할 것이 바로 렌더링입니다. 렌더링이라는 것을 해야 그동안 만든 나의 작업물이 하나의 영상으로 만들어집니다. 어떻게 보면 그 동안의 수고를 완성짓는 단계이자 결과물로써 보상받는 단계인데, 여기엔 몇가지 주의할 사항이 있습니다. 항상 과정 중에 열심히 하더라도 끝에 마무리를 잘해야 하듯 렌더링 단계에서 이상하게 렌더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겠습니다. 자 그럼 하나씩 같이 .. 더보기
에펙 렌더링 전 반드시 3번 이상 확인해야 할 옵션 (ft. 안하면 밤새야되요) 에펙 렌더링 전 반드시 3번 이상 확인해야 할 옵션 (ft. 안하면 밤새야되요)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렌더링 전 반드시 3번 이상 확인해야 할 옵션 (ft. 안하면 밤새야되요)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작업 옵션 렌더링 전에 작업 옵션들을 반드시 3번 이상 꼭 확인해야 합니다. 예를들면, '모션 블러'가 있겠습니다. 에펙에서 모션블러 효과를 내는 원리는 가상으로 레이어 16개를 추가로 생성해서 이 모션블러의 효과를 내는 것이라고 예전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알려드렸었습니다. ↓↓[에펙 모션 블러 효과 꿀Tip 포스팅 보러가기]↓↓ 에펙 모션 블러 효과 꿀Tip 에펙 모션 블러 효과 꿀Tip .. 더보기
에펙에서 이미지 파일은 jpg가 아닌 png를 써야하는 이유 에펙에서 이미지 파일은 jpg가 아닌 png를 써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에서 이미지 파일은 jpg가 아닌 png를 써야하는 이유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에펙에서 이미지는 왜 jpg가 아닌 png를 써야할까? 에펙에서 이미지 작업을 할 때는 왠만하면 jpg보다 png를 써야 합니다. 왜 그럴까요? 왜냐하면 jpg는 압축 할 때 미세하게 색감 차이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jpg로 압축하면 보통 용량이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HSB값의 어떠 정보를 누락시켰다는 얘기입니다. 그런데 png는 압축을 해도 HSB같은 밝기 채널은 건드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미세한 색감의 차이 때문에 왠만하면 .. 더보기
에펙 Depth채널 8비트, 16비트, 32비트 차이점 및 변환 방법 에펙 Depth채널 8비트, 16비트, 32비트 차이점 및 변환 방법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Depth채널 8비트, 16비트, 32비트 차이점 및 변환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Depth 채널 8bit 16bit 32bit 에펙의 비트레이트 설정 기본값은 8비트입니다. 왠만한 영상은 다 8비트내에서 해결이 가능합니다만 간혹 그라데이션이 많이 들어가는 영상작업을 한다고 해봅시다. 그럴때는 8비트로는 부족 할 때가 있습니다. 명암단계의 차이가 확연히 안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로 이럴 때 비트레이트를 올려 16비트 또는 32비트로 바꾸어 쓰기도 합니다. 그러면 비트설정을 어떻게 바꾸는지.. 더보기
에펙 그래프에디터 속도그래프 쉽게 다루는 꿀팁! 에펙 그래프에디터 속도그래프 쉽게 다루는 꿀팁!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그래프에디터 속도그래프 쉽게 다루는 꿀팁!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속도 및 경로 조절 그래프 에디터 속도그래프와 연관있는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Keyframe Interpolation)에 기능에 대해서 사람들이 많이 헷갈려하는 것 같습니다. Interpolation(인터폴레이션)의 영어 뜻을 알면 보다 더 이해하기가 쉽습니다. 인터폴레이션이란 보간법이라는 뜻인데 쉽게 풀어 설명드리면 두 값 사이의 중간값을 추정해주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에펙에서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이란 두 키프레임 사이 움직임의 중간값을 .. 더보기
에펙 스탑모션 효과를 만드는 2가지 방법 (ft. 토글홀드,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 에펙 스탑모션 효과를 만드는 2가지 방법 (ft. 토글홀드,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스탑모션 효과를 만드는 2가지 방법 (ft. 토글홀드,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1. 토글 홀드 키프레임 Toggle Hold Keyframe 스탑모션 효과는 [키프레임 우클릭 - 토글 홀드 키프레임(Toggle Hold Keyframe)]에서 할 수 있습니다. 이 토글홀드라는 녀석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솔리드를 하나 만든 후 동그란 마스크를 잡고 간단하게 포지션 키프레임으로 움직임을 줘 보겠습니다. 그리고 키프레임의 기본 모양은 아래 그림처럼 다이아몬드 모양.. 더보기
에펙 텍스트 애니메이션 한글자씩 나오고 글자 바뀌는 효과 만들기 (ft. 위글리) 에펙 텍스트 애니메이션 한글자씩 나오고 글자 바뀌는 효과 만들기 (ft. 위글리)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알고 싶어하시는 에펙 텍스트 애니메이션 한글자씩 나오고 글자 바뀌는 효과 만들기 (ft. 위글리)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에펙 텍스트 애니메이트(Text animate)란? 에펙이 버전 업을 하면서 글자 하나 하나를 레이어를 분리해서 따로 따로 기능을 넣을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것을 text animate(텍스트 애니메이트)라 부르고 지금까지 왔습니다. 초기버전에는 제한된 사항이 많았지만 지금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이 animate는 글자 하나 하나를 따로 따로 제어하기 위해서 각 글자에 '힘'을 준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