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달콤친절한 에프터이펙트 썸네일형 리스트형 728x90 반응형 에펙 위글러(Wiggler) 사용 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에펙 위글러(Wiggler) 사용 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사용하시는 효과인 에펙 위글러(Wiggler) 사용 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 에펙 위글러(Wiggler)란? 위글러(Wiggler)란 무엇일까? 먼저 Wiggler에 대해 영어 뜻풀이를 해보면, Wiggle: (상하좌우로 짧게) 씰룩씰룩 움직이다. 는 뜻이 있습니다. 즉, 에펙에서의 위글러(wiggler)는 상하좌우로 짧게 짧게 랜덤하게 모션을 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 에펙 위글러(Wiggler) 사용조건 위글러(wiggler) 기능을 사용하려면 두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1. 키프레임이 2개이상 필요하다. 위글.. 더보기 에펙 블랜딩 Frame blending과 Optical flow의 차이 에펙 블랜딩 Frame blending과 Optical flow의 차이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사용하시는데 잘 모르시는 에펙 블랜딩 Frame blending과 Optical flow의 차이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에펙 블랜딩 Blending 영상을 스트레치로 늘리거나 줄일 때 영상을 좀 더 자연스럽게 만들기 위해서 블랜딩(blending) 방식을 씁니다. 이 블랜딩(Blending)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frame blending 방식 비디오를 늘렸을때 프레임이 부족하게 되어 중간중간 툭툭 끊기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때 끊기는 프레임 중간에 디졸브 효과를 넣어 잔상이 남게 해 조금 덜 끊기게 보이게해주는 방법이다. 프레.. 더보기 에펙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에 대해서 에펙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사용하시는 효과인 에펙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 키프레임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먼저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의 뜻을 알면 쉽습니다. 바로 '보간법'입니다. 이 '보간법'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둘 이상의 변숫값에 대한 함숫값을 알고서, 그것들 사이의 임의의 변숫값에 대한 함숫값이나 그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 이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에프터이펙트 입장에서 가져와 해석해보면 '키프레임이 찍힌 값들의 사이에 있는 중간값을 추정하는 방법' 정도로 해석 될 수 있겠다... 더보기 에펙 모션 블러 효과 꿀Tip 에펙 모션 블러 효과 꿀Tip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시고 많이 사용하시는 효과인 모션 블러(motion blur)에 대해서 포스팅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 모션 블러(motion blur) 먼저 모션 블러(motion blur) 사전적 정의를 보면 "영상 및 애니메이션같은 연속한 그림들이나 스틸 이미지 속에 비치는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의 뚜렷한 줄무늬이다. 노출이 길거나 움직임이 빠른 까닭에, 아니면 프레임 하나를 촬영하는 동안 영상이 변화할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라고 정의 되어 있습니다. - 에펙의 모션블러 원리 에펙에서도 영상에 이런 모션블러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에펙에서 모션블러효과를 내는 원리를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추가로 레이어 16개를.. 더보기 느려진 에펙.. 다시 빨라지게 할 순 없을까? (ft. 캐시파일 삭제하기) 느려진 에펙.. 다시 빨라지게 할 순 없을까? (ft. 캐시파일 삭제하기) 에펙 캐시파일 삭제하기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에펙 느려짐 현상을 일부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물론 컴퓨터 사양이 매우 좋다면 에펙이 느려지는 것을 체감 못 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사양 컴퓨터로 작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늘 포스팅 내용이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작업을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컴퓨터 구석구석 캐시파일이라는 것이 쌓이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에펙이 느려지는 근본 원인인데,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 캐시파일이란? 에펙으로 영상작업을 하다보면 캐시파일이라는 것이 자동적으로 생기게 되는데, 주로 프리뷰를 보기 위.. 더보기 에프터이펙트 Shy(샤이) 아이콘은 뭐 하는 기능일까? 에프터이펙트 Shy(샤이) 아이콘은 뭐 하는 기능일까?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에프터이펙트 Shy(샤이) 아이콘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도대체 이 Shy(샤이)아이콘은 뭘 하는 기능인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 Shy(샤이)아이콘 기본적으로 프리미어프로는 트랙의 구조이지만 에프터이펙트는 포토샵과 같은 레이어 구조이기 때문에 레이어를 한 장 한 장을 쌓아놓고 작업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작업량이 많아질수록 레이어도 굉장히 많이 쌓이게 됩니다. 그러면 원하는 레이어를 찾기 위해서 한참을 스크롤 다운해야 하고 찾기기 힘들어서 작업이 다 끝난 레이어를 숨기고 싶을 때 쓰는 기능이 바로 shy(샤이)입니다. 보통은 모니터의 크기와 타임라인의 크기가 한계가 있.. 더보기 블루 vs 그린스크린, 뭐가 다른걸까? (ft. 그린스크린을 채택한 이유) 블루 vs 그린스크린, 뭐가 다른걸까? (ft. 그린스크린을 채택한 이유)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블루스크린과 그린스크린에 대해서 그리고 그린 스크린을 쓰는 이유, 그리고 블루스크린과 그린스크린의 작지만 큰 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블루스크린 vs 그린스크린 일단 보편적으로 영상 합성을 위해 크로마키 keying 작업을 할 때에는 보통 그린 스크린과 블루 스크린을 쓴다. 왜 그럴까? 잘 생각해보면 그린과 블루는 빛의 3원색 중 하나이다. 그러면 우리가 이런 생각도 해볼 수 있을 것이다. 왜 레드 스크린은 없지? 그렇다. 왜 레드스크린을 없을까? 여러분도 이런 생각을 해봤는지 모르겠지만, 이는 꽤 궁금증이 가득한 질문이다. 레드스크린이.. 더보기 에펙 정~~~말 자주쓰는 단축키 모음 (1편) 에펙 정~~~말 자주쓰는 단축키 (1편)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오늘은 제가 에펙을 사용하면서 정~~~말 자주쓰게 되는 단축키들을 모아서 몇 편에 걸쳐 포스팅을 하려고 해요. 제가 직접 실무에 있으면서 자주 사용했던 것들이라 아마 여러분들도 저와 같이 많이 사용하시게 될 것 같아 공유드립니다. - 타임라인에서 한 프레임씩 이동할 때 1. page up / page down (한 프레임씩 이동) 2. Shift + page up / down (10 프레임씩 이동) - 프레임 사이즈(frame size) 맞추기 1. frame size fit 단축키 -> Shift + '?' (컴포지션 패널의 크기에 딱 맞춰준다.) 2. frame size 100% -> Shift 빼고 '?' 만 누르기 (컴..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