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콤친절한 에프터이펙트

에프터이펙트 초보 탈출! 이 8가지 기능만 알면 전문가처럼 작업 가능!

로스윗 2025. 3. 26. 21: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입니다.

여러분 잘 지내셨죠?

 

에프터이펙트는 강력한 영상 편집 및 모션 그래픽 제작 프로그램이지만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복잡하고 어려워 보일 수 있습니다. 😵💦

 

하지만 기본 개념과 핵심 기능 몇 가지만 익혀도 원하는 애니메이션과 효과를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에프터이펙트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기능 8가지를 소개합니다. 🚀🔥

그럼 거두절미하고 바로 GoGo~!!

 

에프터 이펙트 초보자도 쉽게 배우는 기본 기능 8가지!

 

1. 프로젝트와 컴포지션 이해하기

에프터 이펙트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프로젝트(Project)와 컴포지션(Composition)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Project)

: 하나의 영상 파일을 만들기 위한 전체 작업 공간 (프리미어 프로의 "프로젝트"와 비슷)

 

🔹 컴포지션(Composition)

: 영상 작업의 "캔버스" 같은 개념으로, 여기서 애니메이션을 만들고 효과를 적용함 (프리미어 프로의 "시퀀스"와 비슷)

 

📌 컴포지션 생성 방법:

  1. [File] → [New] → [New Composition] 클릭
  2. 해상도, 프레임 속도(FPS), 지속 시간(Duration) 설정
    • 유튜브 영상: 1920x1080, 30fps
    • 영화 같은 느낌: 24fps
    • 애니메이션: 60fps 추천

저는 보통 유튜브 영상을 작업할때 30프레임을 많이 쓰는편입니다.

제가 영화나 애니메니션을 만들일은 많이 없기도 하구요.

 

728x90

 

2. 레이어(Layers) 시스템 이해하기

 

에프터 이펙트는 레이어 기반의 편집 툴입니다.

 

1) 레이어란?

각각의 오브젝트(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를 하나의 층으로 나눠 작업하는 방식입니다.

포토샵의 레이어와 개념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레이어 종류:

  • 비디오/이미지 레이어: 영상, 이미지, 로고 등 삽입
  • 텍스트 레이어: 자막, 타이틀
  • Shape 레이어: 도형 및 그래픽 요소
  • Adjustment 레이어: 색 보정 및 효과 적용


프리미어 프로처럼 타임라인에서 레이어 순서를 조정하면 화면에서 위아래로 배치됩니다.

또한 포토샵과 마찬가지로 위의 레이어가 아래의 레이어에 영향을 미칩니다.

어도비사 툴이 원리가 다 비슷비슷 합니다.

 

 

 


 

3. 키프레임(Keyframe)과 애니메이션 만들기

 

키프레임은 펙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입니다.
키프레임을 사용하면 오브젝트의 위치, 크기, 투명도, 회전 등을 애니메이션화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아는 모든 모션그래픽 영상은 다 키프레임으로 만든다고 봐도 과언이 아닙니다.

 

📌 기본적인 키프레임 애니메이션 만들기:

  1. 타임라인에서 원하는 레이어를 선택
  2. 속성(위치, 크기, 회전 등) 옆의 ⌚ 스톱워치 아이콘 클릭
  3. 애니메이션을 시작할 첫 번째 키프레임을 설정
  4. 타임라인을 이동하여 두 번째 키프레임 추가 후 값 변경
  5. 재생 버튼을 눌러 확인

💡 만약 애니메이션이 너무 뻣뻣하다면?

  • 키프레임을 선택 후 F9 → 부드러운 움직임 적용 (Easing 효과)
  • Graph Editor(그래프 에디터) 활용 → 속도를 자연스럽게 조절 가능
이징 효과를 꼭 해야합니다.그렇지 않으면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굉장히 뻣뻣하고 어색하게 보입니다.보다 정교하고 세밀한 움직임 만들고 싶다면 그래프 에디터에서 작업이 가능합니다.

 

 


 

4. 이펙트 & 프리셋 활용하기

 

에프터 이펙트에는 다양한 기본 이펙트(Effects)와 프리셋(Presets) 이 내장되어 있어 초보자도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이펙트 적용 방법:

  1. Effects & Presets 패널 열기 (단축키: Ctrl + 5)
  2. 원하는 효과를 검색 (예: Glow, Blur, Color Correction 등)
  3. 레이어에 드래그하여 적용

💡 추천 이펙트:

  • Glow → 빛나는 효과
  • Gaussian Blur → 부드러운 흐림 효과
  • Drop Shadow → 그림자 추가
  • CC Lens → 왜곡 효과

에펙에서 정말 자주쓰는 효과는 이전 포스팅에 이미 3편이나 업로드 했으니 참고해주세요.

 

 

 


 

5. 마스크(Mask) 활용법

 

에펙에서 마스크 기능을 활용하면 특정 영역만 보이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아마 프리미어에서 많이 사용하셨을거라 생각 되는데요

 

📌 에펙에서 마스크 적용 방법:

  1. 펜툴(Pen Tool, 단축키: G) 선택
  2. 원하는 오브젝트(레이어)에서 마스크 영역을 그리기
  3. 마스크 속성을 조절하여 원하는 효과 만들기
주로 텍

스트가 점점 나타나거나 사라지는 효과라던지 특정 부분만 강조하는 효과에서 많이 사용되지요.

 

 


 

6. 트랙 매트(Track Matte) 활용하기

 

트랙 매트는 한 레이어가 다른 레이어의 알파(Alpha) 또는 밝기(Luma) 정보를 따라가는 기능입니다.

트랙매트는 말로 설명하긴 힘들지만 한 번 해보겠습니다.

 

먼저 두 개의 레이어를 준비하고, 아래 레이어에서 TrkMat(트랙 매트) 설정 → Alpha Matte 선택 하면 위 레이어의 형태에 맞춰 아래 레이어가 보이게 됩니다.

 

이 트랙매트 기능을 활용하면 유튜브에서 자주 보이는 글자 안에서 영상이 움직이는 효과나

특정 오브젝트만 투명하게 표현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7. 3D 레이어 활용하기

 

에펙에서는 기본적으로 2D 작업이 가능하지만, 3D 레이어 기능을 활성화하면 입체적인 애니메이션도 만들 수 있습니다.

 

📌 3D 레이어 적용 방법:

  1. 타임라인에서 원하는 레이어 선택
  2. 3D 박스(🔲) 아이콘 체크
  3. X, Y, Z 축을 이용해 오브젝트를 입체적으로 이동
에펙에서 3D 레이이어를 활용하면

카메라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입체적인 장면 연출도 가능하고 글자가 회전하면서 등장하는 타이틀 효과도 만들 수 있습니다.

 

 


 

8. 렌더링(Render) & 내보내기(Export) 방법

 

애니메이션 작업이 끝났다면, 렌더링을 통해 최종 영상으로 저장해야 합니다.

 

📌 기본적인 렌더링 방법:

  1. [Composition] → [Add to Adobe Media Encoder Queue]
  2. 형식 선택 (H.264, MP4 추천)
  3. Render(렌더) 버튼 클릭!

랜더 옵션을 다른것 볼 것 없이 H.264 코덱을 사용하면 고화질이면서 용량이 작은 MP4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유튜브나 다른 영상들도 다 H.264코덱을 사용하니 주저없이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글에서는 에프터이펙트 초보자가 꼭 알아야 할 기본 기능 10가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상 여기까지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영상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영상편집은? 로~스윗!!

감사합니다.

 

P.S 혹시 궁금한 부분이 있거나 추가로 배우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에펙에서 가장 자주 쓰는 효과]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3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3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 입니다. 오늘은 포스팅에서는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3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

rosweet.tistory.com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 #2]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2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2 안녕하세요. 로스윗의 영상편집 입니다. 오늘은 포스팅에서는 에프터이펙트에서 가장 자주쓰는 효과(effects) 설명 #2 대해 자세하게 알려드

rosweet.tistory.com

 

728x90
반응형